'The Prodigals Club'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9.01.20 [2019.01.19] 집 모임 후기
  2. 2018.12.26 [2018.12.25] 집 모임 후기

  안녕하세요, 모르입니다.


  오늘 있었던 집 보드게임 모임의 후기를 간단히 작성해봅니다.





  설명이 없는 사진은 직접 촬영한 사진입니다.


  데스크탑 모드에서 사진을 클릭하시면 더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미니언 (Dominion)

  모르, W


 - 도미니언 + 길드(Guilds) x2회

 - 제국(Empire) x1회



  일찍 오신 W님과는 평소 즐기기 힘든 「도미니언」 확장을 했습니다.


  W님이 못 해보신 「도미니언 : 길드」 확장을 먼저 꺼냈습니다. 「도미니언 : 길드」 확장은 코인 토큰이 생겨서 이 코인을 모아서 구매 단계 때 재화 카드와 합쳐서 사용할 수 있어서 좀 더 다양한 구매 패턴을 즐길 수 있습니다. 「도미니언」 2판 규칙서에서 추천하는 조합 두 개를 한 판씩 해서 저와 W님이 1승 1패씩 주고받았네요.


  이어서 후기 확장 중 완성도가 현재 가장 높다고 생각하는 「도미니언 : 제국」 확장을 꺼냈습니다. 첫 번째 추천 세트는 W님과도 한 번 해본 적이 있어서 두 번째 추천 세트를 꺼냈는데, 저도 한 번도 안 사용해본 카드가 많았네요. 후기 확장 들어와서는 구입은 하는데 플레이를 많이 못해서 개봉 노플인 카드가 많네요. (「도미니언 : 야상곡」 현재 개봉 노플..ㅠㅠ) Throne Room의 상위호환인 Crown으로 돈을 뻥튀기하는 재미, 가격은 매우 비싸지만 그 효능은 엄청난 Fortune, 이 둘을 손에 더 자주 잡게 해주는 Royal Blacksmith가 콤보가 된 덕분에 제가 승리했네요.



  「도미니언」이 끝나고 M님이 오실 때가 되어서 시간이 짧은 「숲 속의 여우」를 하...려다가 M님이 생각보다 더 빨리 오셔서 바로 다음 게임을 꺼냈습니다.









  「탕아 클럽 (The Prodigals Club)

  모르, M, W


 - 사교 경쟁, 투표 경쟁



  5인플 때 느낌이 좋았던 「탕아 클럽」을 3인플도 한 번 시도해보았습니다. M님은 처음이셔서 규칙서의 추천을 따라 사교 경쟁과 투표 경쟁을 선택해서 진행. 결과는 대성공!


  지난 번보다는 사교 경쟁과 투표 경쟁의 밸런스를 신경쓰고, 사교 경쟁에서 제공하는 추가 아이콘을 더 잘 이용하였습니다. 3인플이라서 엔진도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져서 4라운드 종료 시 사교 8 투표 10이라는 밸런스 잡힌 마무리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지난 첫 번째 플레이에서도 훌륭한 플레이를 보여주셨던 W님이 이번에도 좋은 엔진을 갖추셔서 같은 4라운드에 사교 -2 투표 10을 맞추셨고 타이 브레이커 규칙에 따라 W님이 승리하셨네요.


  한 라운드만 더 가면 손에 든 맥주 카드 세 장에 검정 카드 엔진 덕분에 저에게도 승기가 있었던 것 같은데... 아쉬운 패배입니다. ㅎㅎ




  「탕아 클럽」이 끝날 때쯤 J님이 오셨습니다.







사진 촬영 : M님



  「진저브레드 하우스 (Gingerbread House)

  모르, J, M, W



  W님이 추천하고 제가 구입한, 그리고 M님이 아침부터 하고 싶어하셨던 메르헨 범죄 스릴러 「진저브레드 하우스」가 다음 게임이었습니다.


  4인플이어서 많은 승점 보너스 카드가 열린 건 좋았는데, 게임 시작 시 열린 카드가 과자를 6, 7개씩 사용하는 카드 위주라서 조커 타일을 빠르게 모으기 힘든 게임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초반에 좀 답답하고 중반부터 게임이 풀리는 느낌을 받았네요.


  제가 1층 완성 후 가져간 '기분이 안 좋은 카드가 많을수록 추가 점수' 카드를 만점인 12점을 받고 다섯 개 이상의 과자 토큰이 필요하고 승점이 높은 카드를 많이 납치한 덕분에 승점이 크게 벌려서 제가 1등을 하였습니다. M님은 인간 카드마다 승점 2점인 보너스 카드를 받았으나 보너스 12점을 꽉 채우지 못하셨고, W님과 J님은 큰 그림을 그릴 만한 카드를 잡는 데 실패하신 게 좀 아쉬웠네요.

  





사진촬영 : J님


사진 촬영 : J님


사진 촬영 : M님


사진 촬영 : M님


사진 촬영 : M님



  「도쿄 메트로 (Tokyo Metro)

  모르, J, M, W



  오늘의 메인 게임이라 할 수 있는 「도쿄 메트로 (Tokyo Metro)」를 꺼낸 건 좋은데, 제가 잔룰 숙지가 미흡했던 부분이 많아서 설명이나 게임 중에 룰북을 찾아볼 일이 많았네요. 고생길 많은 테스트플레이임에도 재밌게 즐겨주신 세 분께 다시 한번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여러 가지로 독특한 느낌을 주는 경제 게임이었습니다. 단, 에러플이 적잖이 있었기 때문에 아래의 소감 중에는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현금 흐름이 상당히 타이트했습니다. 일부 기차 출발 행동 및 전철의 통과에 따른 수입 정도가 현금이 들어오는 유일한 루트여서 플레이어들이 현금을 쌓을 방법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에이지 오브 스팀」의 초반 전개처럼 대출을 포함한 투자를 통해 미래의 점수가 될만한 요소들을 쌓아나가는 느낌이었습니다.



  저희 파티가 했던 가장 큰 실수는 게임 종료 후 주식 배당 방식의 착각으로 비효율적인 투자를 많이 한 것이었습니다. 「임페리얼」 같은 게임은 내가 주식이 가장 많은가 적은가도 중요하지만, 그 수치 자체가 많으면 많을수록 나의 이득이 커지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도쿄 메트로」는 내가 가진 주식의 총량이 늘어난다고해서 이득이 커지지 않습니다.


  주식은 노선마다 최대 세 장까지 구매될 수 있습니다. 게임 종료 후 주식 배당은 노선의 가치를 주식을 가진 사람들이 나눠가지는 방식입니다. 주식이 한 장만 팔렸으면 혼자서 모두 가져가고, 두 장이면 팔린 순서대로 2:1로, 세 장이면 4:2:1로 나누어 가집니다. 따라서 내가 주식이 있는 노선의 주식을 추가로 구입한다고 해도 내 이득이 늘어나는 부분은 많지 않습니다. 또, 누군가가 1번 주식을 구입한 노선에 2번으로, 3번으로 들어가는 비용은 점점 커지는데 수익의 폭은 줄어듭니다. 이 부분을 제가 설명을 잘못해서(ㅠㅠ) 아무도 캐치하지 못했기 때문에 잘못된 현금 투자가 많아진 부분이 너무 아쉽습니다.


  ++추가내용))

  한 플레이어가 같은 노선의 주식을 여러 장 사는 게 룰상 금지되어 있더군요. 아예 다른 게임 했네요 ㅠㅠ




  W님은 히비야선(회색 H)을 주로 키우셨는데 주식 규칙에 대한 오해로 액션 낭비가 컸고 노선을 혼자서 키우는 한계가 있어서 저와 함께 사이좋게 3, 4등을 하셨습니다.


  저와 J님은 함께 신주쿠선(연두색 S)을 키웠는데, 노선을 키우는 데 공헌은 제가 더 많이 했지만 저는 주식이 2, 3번이어서 1번 주식을 가진 J님보다 더 적은 배당을 받았습니다. 제 덕분에(?) J님은 2등을 하셨네요.


  M님은 한조몬선(보라 Z)을 포함한 각종 우량 노선 주식에서 재미를 많이 보셨고, 특히 혼자 주식을 구입한 한조몬선이 결과적으로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키운 모양새가 되어서 크게 이득을 보시고 압도적으로 1등을 하셨습니다.



  플레이하는 동안에는 제가 룰 파악이 덜 된 마음에 게임을 충분히 음미하진 못했습니다만, 모임 후기를 쓰는 지금 생각해보면 참 재밌는 부분이 많은 게임이었네요. 게임의 대략적인 흐름을 알았으니, 다음에는 좀 더 효율적으로 게임을 진행해보고 싶은데, 언제 기회가 올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있었던 에러플들))

  - 주식 구입 : 플레이어는 한 노선의 주식을 한 장씩만 소유할 수 있다.

  - 역 건설 : 여러 개의 동그라미로 연결된 역도 하나의 역으로 보기 때문에, 하나라도 역이 지어지면 나머지 칸에는 역이 지어질 수 없다.

  - 전철 탑승료 : 주식이 없는 노선에 탑승하여 이동할 때 지불한 100엔의 탑승료는 해당 노선의 수입 트랙을 100엔 올려준다.

  - 전철 종착역 도착 : Start로 출발한 열차는 번호가 가장 큰 역이 아니라 1번 역으로 되돌아올 때까지 운행한 후에 게임판에서 치운다.

  그 외 여러가지 사항을 정리해둔 게시물을 새로이 작성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
  게시물 링크 : 「도쿄 메트로」 보드게임긱 질문 번역








사진 촬영 : J님


사진 촬영 : J님



  「타이니 에픽 갤럭시 (Tiny Epic Galaxies)

  모르, J, M, W



  곧 한국어판이 발매되는 타.에.갤이 해보고 싶었는데 제가 전에 해보고 싶어 하던 걸 기억해주신 M님이 게임을 가져와주셔서 오늘 플레이해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어떤 종류의 게임인지 전혀 몰랐는데, 「롤 쓰루 디 에이지스」처럼 주사위를 굴려서 자원을 모으거나 사용하고 각종 액션을 하여 행성을 정복(!)하는 등 여러 재밌는 요소가 많은 게임이었습니다.


  바로 확장을 섞어서 진행했는데, 확장 덕분에 게임에 즐길거리가 더 많아졌다는 게 한눈에 보이더군요. 나중에 한국어판 발매 시 반드시 확장도 같이 구입하시길 추천합니다.






사진 촬영 : J님




  「고루스 막시무스 (Gorus Maximus)

   모르, J, M, W



  얼마 전 킥스 배송이 된 트릭 테이킹 장르입니다. 특수 카드가 없고, 카드마다 점수가 다르며, 자기 앞 사람이 낸 카드와 같은 숫자의 카드를 내면 트럼프 수트가 바뀌는 점이 독특한 게임입니다.


  투기장이 혼란스러운 것처럼 트럼프 수트가 한 라운드 동안 두어 번씩 바뀌기 때문에 트릭 하나하나가 신경 쓸 게 많습니다. 이 부분이 장르적 특성을 고려하고도 다른 사람의 플레이에 너무 많은 영향을 받는 기분이 들고 불호를 느끼는 계실 것 같습니다. 그래도 저는 리드 수트가 없을 때도 능동적으로 카드를 고르는 선택지가 열려 있는 트릭테이킹은 흔치 않은지라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도쿄 메트로」, 「타이니 에픽 갤럭시」에 이어 「고루스 막시무스」까지 세 게임이나 배울 수 있는 알찬 하루였습니다.

Posted by 모르.
,


  오늘은 휴일을 맞아 아는 분들을 집에 초대하여 보드게임 집 모임을 가졌습니다.




사진 출처 : 보드게임긱




요괴 칠중주 (Yokai Septet)



  한 분이 조금 늦으셔서 그 전까지 가벼운 마음으로 4인용 트릭테이킹인 「요괴 칠중주」의 테스트 플레이를 해보았습니다.


  특수 카드 없이 일곱 개의 수트로 진행되기 때문에 밋밋하거나 핸드운이 크게 작용할 것 같았습니다만, 처음 예상 보다는 많은 걸 신경쓰면서 플레이해야 했습니다. 점수 카드인 7은 많이 모아야 유리하지만, 먼저 7승을 하면 팀이 패배하기 때문에 무작정 많이 이길 수도 없는 묘한 밸런스가 있네요. 핸드 관리를 자칫 잘못하면 라운드 패배로 직행하지만, 라운드 시작 시 팀원과 교환한 카드를 토대로 머리를 굴리니 길이 보이기도 했습니다.


  두 라운드만 플레이했고 두 팀이 1승씩 가져가서 점수는 3:3으로 끝났는데, 나중에 한 번 제대로 해보고 싶네요.









방탕 클럽 (Prodigals Club)


  방탕 클럽? 탕아 클럽? 뭐가 더 좋은 번역일까요. 저는 방탕 클럽이 좀 더 어감이 좋네요.


  보드피아에서 「라스트 윌」과 함께 세트로 구입한 「방탕 클럽」 5인플을 첫 게임으로 꺼냈습니다. 신사의 상징인 부, 사교계의 평가, 투표를 모두 벗어버리고자 하는 방탕 클럽 회원들이 재산을 잃고, 사교계의 평가가 나빠지며, 투표에서 패배하기 위해 경쟁하는 내용입니다. 저희는 다들 처음인 만큼 룰 설명과 함께 사교 경쟁(social competition), 선거 경쟁(election competetion)을 사용하였습니다.


  후기를 한 번도 본 적이 없고 룰을 읽으면서도 약간 심심한 느낌인 것 같아서 기대감을 살짝 눌러놓고 플레이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아기자기한 재미가 있었습니다. 선거 경쟁에서 구할 수 있는 타일을 조합하여 아이콘을 확보하는 것도 재밌었고, 사회적 평가를 이리저리 퍼즐 맞추듯이 조절하면서 베아트리체 부인이 사교계에 저에 대한 칭찬을 하는 것을 피해다니는 재미도 매력적이었습니다. (베아트리체 부인, stop chingchan me....)


  다른 분들은 사교계 지표도 선거 득표수도 균형 있게 깎으셨는데, 저는 사교계 지표를 깎을만한 충분한 방법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게임 종반에 접어드는 바람에 사교계 평가가 너무 좋아서 압도적으로 꼴등이었네요 ㅠㅠ


  기회가 되면 당분간 몇 번 더 해보고 싶습니다.








왕조 : 결혼과 지배 (Dynasties: Heirate & Herrsche)


  예전에 재밌게 했던 게임인데 최근 「Glem More II」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던 중 이 작품도 Matthias Cramer 작가님의 작품인 걸 알았네요. 마침 5인플이 된다고 해서 오늘 모임에 오시는 W님에게 가져와달라고 부탁했습니다.


  노란색 지역이 지역 점수가 높았는데 마침 제가 가진 미션 중 노란 미션이 들어간 카드가 1라운드에 성공이 가능해서 노란 지역을 공격적으로 차지하면서 게임을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노란색 지역에 1등은 가망이 없다고 판단한 건지 경쟁이 금방 줄어들어서, 그만큼 다른 지역에 참여할 여력이 생기더군요. 결과적으로 노랑, 파랑, 빨강 세 개 지역에서 왕관 점수를 먹으면서 안정적인 점수 지역이 많아졌고, 그만큼 액션 하나하나가 중요한 후반전에 체리피킹이 가능해 큰 흔들림 없이 게임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2등인 W님을 30점 정도 차이로 앞서면서 압도적인 1등~ 예~


  






다시 한 번! (Noch Mal)


  얼마 전에 구입한 4, 5, 6번 패드를 한 번도 써본 적이 없어서 4번 패드로 한 판 했습니다. 그 결과 9점이라는 처참한 점수로 마무리... 꼴등이 아닌 게 다행입니다.







치킨 (Chicken)



냠냠






사진 촬영 : Y님




도망수녀 (Nuns on the Run)


  치킨이 오래 걸릴 줄 알고 한 시간 내외의 게임으로 골랐는데, 1라운드 하던 중에 치킨이 와서 치킨 먹고 플레이한 게임이 되었네요.


  제가 사감이었는데, 초반에 J님, W님, Y님을 잡으러 다니는 동안 K님이 불편함 없이 비밀 소원을 달성하고 승리하셨습니다. 사감 수녀로 마지막으로 승리한 게 언제인지...ㅠㅠ








좀비사이드 (Zombicide)


   도착 후 처음 플레이하는  「좀비사이드」입니다. 시나리오 1을 하려다가 난이도가 '어려움'인 걸 보고 겁나서 시나리오 2를 플레이했습니다. 생존자 전원이 목적지에 도착하는 시나리오인데, 뭔가 좀비 떼와 크게 마주치는 일 없이 파밍 후 좁은 건물을 지나가서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다들 게임을 많이 해봤고, 저와 다른 한 분은 조금이나마 플레이 경험이 있어서인지 정말 쉽게 깼네요.


  ...에러플이라도 했나...?








케이크 (Cake)


  여러분은 촛불 1개를 보고 있습니다. 촛불입니다. 진짜. 레알.









스컬 킹 (Skull King)


  인어가 스컬킹 보너스 점수를 받거나 스컬킹이 해적 보너스 점술르 받는 일이 많은 신기한 게임이었습니다. 하지만 0승 실패도 많아서 점수는 고만고만했습니다.








부두 프린스 (Voodoo Prince)


   「스컬 킹」의 어이없는 결과에 격분한 (저를 포함한) 사람들의 주장으로 트릭 테이킹을 한 게임 더 하게 되어서 고른  「부두 프린스」. 빨리 이길지 늦게 이길지 그리고 그게 내 마음대로 될지가 어려워서 재밌는 게임이죠. 특수 카드가 없다는 특징 때문에 쉽지는 않지만요. 치열한 플레이 끝에 34점 한 명, 32점 세 명이라는 신기한 결과가 나왔네요.





  하루 종일 좋은 사람들과 좋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어서 행복한 하루였습니다.

Posted by 모르.
,